본문 바로가기

대출

왜 소액 내구제대출을 하면 안 되는가?- 금융이야기

소액 내구제대출이라고 하면 무슨 용어인지 모르시는 분들도 많으실 듯 싶습니다. 기본 내용은 쉽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폰7 같은 고급 스마트폰을 할부로 구입개통하면서 실제 폰을 사용하지 않고 중고로 기기를 파는 거죠. 이렇게 해서 큰 금액은 아니지만 소액 현금을 융통하는 방법입니다.

 

휴대폰깡이라고도 하죠. 정수기라든지, 보조금을 지원하는 인터넷회선 등으로도 제법 이용하고 있지만, 이쪽은 돈이 얼마 안 되서 주로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말 문제가 많은 대출방법이라서 절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점을 하나씩 짚어보면 우선 기본적으로 판매자가 불법으로 처벌받는 것은 아닙니다. 외형상으로만 보면 정상적인 할부판매형태로 현실적으로 매수자가 언제든지 중고로 팔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요즘은 전자기기 전당포도 흔하죠. 하지만 일반인은 익숙하지 않다보니, 주로 전문적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 내통하고 진행할 때가 많습니다.

 

통신사측에서는 통신요금납입도 제대로 안 되고 보조금만 날리게 되어 그런 불량판매자와는 계약을 해지하는 등으로 제재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돈이 되니 불량판매자가 꾸준히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에 비해 구매자측에서는 엄청난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우선 명의도용피해가능성! 폰개통에는 신분증사본 등이 들어가는데 판매자가 주는 서류에 그냥 아무생각없이 싸인할 때가 많은데 불량업체는 그걸 이용해 2 ~ 3개 개통을 하는 것입니다.

 

그로 인해 본인도 모르게 피해가 2 ~ 3배이상 커질 수 있지만, 신분증 사본 등은 그냥 복사하면 계속 나오니.. 도용을 막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정상적인 곳을 이용해도 문제입니다.

 

 

 

 

요즘 아이폰, 갤럭시 고가폰들은 기기값이 70 ~ 80만원이 넘죠.

 

그렇지만 내구제를 해봐야 받는 돈은 고작 20 ~ 30만원, 판매자측에서 자기들 수수료니 뭐니해서 제하고 나서 겨우 이삼십만원 밖에 안 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20 ~ 30만원 받고는 실제 당사자가 납부해야하는 돈은 통신요금에 위약금까지 덧붙어서 100만원 정도 나오게 됩니다.

 

정말 얼마 안 되는 소액 급한 불을 끄려다가 연이자율 백퍼센트가 넘는 일수사채보다 더한걸 쓰는게 바로 내구제의 실체인거죠.

 

 

 

보통보면 3개정도 개설하는데 받은 돈은 고작 70만원 정도에 갚을 돈은 300만원 정도됩니다. 당연히 못 갚죠. 바로 신용불량자로 전락하게 됩니다.

 

이렇게 말도 안 되는데 왜 이용자가 있을까요?

 

바로 미성년자, 20대 초반 금융지식은 하나없는 사회초년생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군대도 안 갔다온 미필 20대초반에는 사채대출도 안 되죠. 그러다보니 이걸 쓰는 것입니다.

 

게다가 판매자는 요금이 얼마 안 나오니 천천히 갚으면 된다고 뻥치는데.. 실제 안정적인 소득도 없는 이십대초반에 갚기는 무리가 있습니다. 겨우 몇십만원 빌려쓰고 삼백만원 갚아야하니 분통이 터져서 안 갚을려는 마음도 생기구요.

 

 

 

 

이렇게 해서 한번 신용불량자가 되면 근 10년간 신불자로 계속 살아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자는 이자대로 계속 불어나고, 통장압류 등을 당할까봐 본인명의 계좌이용도 쉽지 않은 상황이되는거죠. 이러다보면 20대 후반까지, 심하면 30대 초반까지도 정상적인 경제생활을 못 하게 됩니다.


이렇게 문제가 심각한데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제대로된 대책은 없는 것 같습니다.

 

일상적인 중고매매를 막을 수도 없는 부분이고, 이미 미성년자들까지도 일상화된 스마트폰사용을 제한할 수도 없는 문제입니다. 그러다보니 제대로된 대책이 나오기 어렵죠.

 

 

 

결국 본인 스스로 하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눈앞에 20 ~ 30만원에 5년, 10년 고생할 수 있다는 현실을 알아야하죠.

 

뉴스에서 심각하게 나오는 불법사채, 일수.. 이것보다 더 심한게 바로 휴대폰내구제입니다.

 

합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라는 말에 현혹되어선 안 됩니다. 법적으로 통제하기가 어려운 부분이라서 제대로 컨트롤 되고 있지 못할 뿐인거죠.

 

이에 대해 제대로된 법적인 해결책이 나와야하지 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