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재테크에 나오는 주식과 채권이란? 쉽게 설명하면

가지고 있는 돈을 굴릴 방법, 재테크를 찾다보면 주식(stock, 株式)과 채권(bond, 債券)에 관한 글들이 많이 나옵니다. 그런데 이해가 쉽지 않은 부분이 많죠.

 

그래서 오늘은 경제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우선 법인회사의 경제적 가치를 여러 조각으로 나눈 지분을 주식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자본금 5백만원을 넣어서 주식회사를 설립한다는 걸 가정합니다.

 

 

 

 

이 상황에서 500원 짜리 주식으로 1만주를 발행할 수 있죠. 그걸 모두 소유한 사람은 그 기업 전체를 가진게 되는 것입니다.

 

투자자와 운영자가 절반씩 (5천주씩) 나눠 가졌다면 각각 1/2씩 소유한게 되는 것입니다.

 

주식을 왜 보유하는가? 하면 이렇게 그 회사를 소유하기 위해서 입니다. 대주주는 그 회사의 중대결정에 자신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대기업에 고작 몇백주를 소유한 소액주주는 그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죠. 이들은 배당이나 주가의 변화에 따른 매매시세차익을 노리고 매수하게 됩니다.

 

 

한신기계 1일 주가변동 : 출처 네이버 증권정보


예를 들어 코스피종목 한신기계를 2016년 6월 27일 종가 3,115원에 매수해서 오늘 6월 28일 종가 3,180원에 매도했다면 한 주당 65원의 시세차익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물론 여기에 증권거래세와 매매수수료를 빼야하니 대충 54원 정도의 차익을 올린거죠. 에게 50원? 할 수도 있지만 1000주, 3백만원 정도를 샀다면 하루에 5만원 수익을 올린 것입니다.

 

은행 적금에 근 1년 가까이 넣어놔야할 수익을 단 하루만에 올린거죠. 반대로 손실도 크게 입을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 재테크에서 자주 나오는 채권은 일정기간 돈을 빌려주고 나중에 이자와 함께 원금을 받기로 한 차용증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발행자(지급자)가 국가나 신용등급이 높은 대기업 등으로 회수가능성이 아주 높다는게 차용증과의 차이점입니다.

 

 

 

또한 발행자격, 방법이 규격화 되어있어서 사람들끼리 거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회사채(채권)는 그 기업이 잘 운영된다고 해서 더 이득이 늘어나지는 않지만, 부도가 나게 되면 이자 뿐만 아니라 원금도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발행자의 신용도를 잘 판단하고 매수해야합니다.

 

그에 비해 주식은 그 회사의 운영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는게 특징입니다. 실적이 엄청나게 잘 나오면 주가는 날라가게 되죠. 반대로 계속 적자로 빌빌대면 주가도 추락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두 가지는 비슷한 점보다는 차이점이 훨씬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