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금반지 뒷면의 18K GP가 무슨 뜻인가요?

커플링이나 목걸이를 살려고 악세사리점에서 쇼핑을 하다보면 반지 뒷면이나 목걸이 연결고리, 팔찌연결고리 같은 곳에서 아주 작은 글씨가 찍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는 14K GP 18k GP도 있죠. 무슨 의미일까요?

 

 

 

 

기본적으로 K금함유량을 표기하는 표기입니다.

 

24k순금(보통 99.9% 정도 수준)을 뜻하며, 18k는 금 75%, 14k는 58.5% 입니다. 그외 나머지 부분은 은이나 구리(동), 아연 등이 섞여서 합금을 이룹니다.

 

 

 

 

나머지 은, 구리 등을 어떻게 조합하는가에 따라 색깔도 달라져서 화이트골드, 핑크골드 등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GP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바로 도금이라는 표시입니다.

 

금속표면에 다른 금속의 얇은 층을 씌우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은반지나 구리반지에 을 씌워서 금반지처럼 만드는 것입니다.

 

 

 

 

코팅과 비슷하죠. 기본 소재는 은이나 동처럼 저렴한 금속이기 때문에 가격이 훨씬 저렴합니다.

 

이런 이유로 젊은 층의 패션아이템으로 많이 쓰고, 도금악세사리는 더 화려한 디자인으로 만들 때도 많습니다.

 

 

 

 

단점은 제조업체의 기술력, 도금두께 등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흠집이 나거나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코팅부분이 벗겨져서 본래 색깔이 드러나게 된다는 것!

 

또한 되판다고 하더라도 금은방에서는 구입하지 않습니다. 소재값이 워낙 싸니 돈이 안 되서 그렇죠.

 

 

 

요즘 인터넷이나 벼룩시장을 통한 중고물품거래가 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개인간의 거래를 할 때에는 특히 표기를 잘 확인해야 합니다. 공연히 잘못해서 도금제품을 비싼 값에 사는 실수는 하지 않도록 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