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으신 분들은 블로그계정을 10 ~ 30만원 정도에 임대하거나 팔라는(매매) 쪽지나 댓글을 가끔 받을 수 있습니다.
포스팅도 몇번 올리지 않은 유저라면 별로 노력도 하지 않고 마치 공돈이 생기는 듯한 광고에 끌리게 됩니다.
이런 내용은 사기일까요? 아닐까요?
솔직히 신이 아니라면 그 광고문구만 가지고 그게 사기인지 아닌지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합법적으로 운영하는 곳도 있을 수 있죠.
하지만 블로그나 이메일계정, 게임계정 같은건 임대하거나 매매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우선, 이런 거래에서는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넘겨주게 됩니다. 큰 정보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이용하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악용될 수 있습니다.
즉, 다른 사이트의 정보도 해킹될 수도 있고, 새로운 아이디를 만들 수 있을 때도 있습니다. 위험하죠.
그리고 블로그거래에서는 테스트를 해보고 선불로 금액을 준다고 합니다.
사실 테스트 하루이틀의 기간이면 업체 쪽에서는 얼마든지 유용하게 사용하고 버릴 수 있습니다. 즉 스팸메일이나 스팸쪽지를 발송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죠.
이렇게 사고치고 업체측에서 잠수타버리면 모든 제재는 명의자에게 가해지게 됩니다.
판매자(명의자)는 돈 받은 것도 없고 자신은 불법을 한게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팸발송인으로 오해를 받게 되고 그에 때른 제재를 받게 됩니다.
게임계정은 더 심각합니다. 아이템거래사기 등에 활용될 수도 있죠.
또한 매도자가 유효하게 선불을 받고 그 회사에서는 합법적으로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그건 단기적입니다. 몇개월, 몇년 뒤에 다른 업자에게 재매도 되어 불법이용될 수 있습니다.
도박사이트 홍보용도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거죠.
이런게 불안해서 회수하려고해도 업체측에서 계약불이행으로 손해배상청구를 한다든지 개인정보를 유출하겠다고 협박하기도 합니다.
정말 몇푼 벌려다가 돈 한푼 못 받고, 사기에 걸려 경찰서까지 왔다갔다 해야하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블로그, 계정임대, 거래는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사기형사민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지식- 쇼핑몰의 구매환불(리뷰) 알바는 대포통장사기? (6) | 2016.01.26 |
---|---|
금융지식 2. 전월세 이중계약 사기는 어떻게 피할 수 있나요? (0) | 2015.12.19 |
재물성없는 게임아이템으로 민사,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나요? (0) | 2015.12.03 |
블로그계정을 팔았는데 매수자가 제3자에게 전매했을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0) | 2015.11.14 |
시대가 변함에 따라서 법이 변하는 이유는 뭘까요? (0) | 201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