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기록삭제기간 썸네일형 리스트형 올크레딧과 은행에서 조회한 등급이 다른 이유는 뭔가요? 최근들어 대출을 신청하기 전에 올크레딧(allcredit)에서 미리 본인의 신용등급을 조회해보고 은행지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올에선 5등급으로 보고 갔는데 은행대출상담사는 8등급이라고 얘기하면서 기준에 안 되서 아예 진행이 안 된다고 한다면 정말 당황스럽죠. 이렇게 다르게 나오는 원인은 무엇이고, 그에 대한 해결책은 없을까요? 기본적으로 은행 등 대부분의 대형금융사는 올크레딧과 나이스지키미(과거 마이크레딧), 두 신용평가회사를 조회하여 나온 등급 중에 낮은 쪽을 기준으로 보는 편입니다. 올 3등급, 나이스 7등급으로 나왔다면 7등급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위 케이스에서는 나이스지키미가 8등급일까요? 물론 그럴 수도 있지만, 아닐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이렇게 답변한다면 또 이해가 .. 더보기 연체정보가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는 기간은? - 현실적인 조언 신용등급관리를 할 때 가장 첫번째 항목은 연체를 하지 말 것입니다. 저도 매번 1번 항목으로 강조하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 중요성을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이직하면서 월급날 15일에서 25일로 열흘 밀리게 되어 카드대금이 조금 부족한데 현금서비스를 받는게 나은지 아니면 1주일 정도 미납해도 되는지 물어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말할 필요없이, 당연히 대출이라도 받아서 결제일에 제때 입금해야 합니다. 신용카드대금은 1주일 이상(주말, 휴일 제외 5영업일)만 연체해도 그 불량정보가 올크레딧, 나이스지키미(마이크레딧, 크레딧뱅크가 합쳐짐)를 통해서 공유됩니다. 신용불량자(채무불이행자)는 90일 연체인데 비교해서 카드대금, 대출이자 등은 10만원이상 1주일만 넘겨도 불량정보가 공유.. 더보기 현재 개인회생 중이면 신용등급관리는 불가능한가요? 대출이자나 카드대금 등을 연체하게 된 상황에서는 개인워크아웃이나 개인회생, 파산면책을 신청하여 신용회복을 하고자 합니다. 이 상황이 되면 스스로도 신용불량자라고 생각하고 완납해야 정상적인 금융생활이 가능할 거라고 대부분 판단합니다. 실제 5년간은 회생 등의 신청기록으로 신용관리는 불가능하다고 이야기를 하는 담당자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무작정 시간이 경과하길 기다려야할까요?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단기장기연체를 하거나, 개인회생 등을 신청하게 되면 그 정보가 올크레딧, 나이스지키미 등의 신용평가회사(크레딧뷰로)를 통해 공유되어 신용등급이 8등급 이하로 떨어지게 됩니다. 변제력을 잃은 신용불량자(채무불이행자)로 평가되는 것이죠. 하지만, 신용회복절차가 승인(인가)이 나게 되면 그때부턴 연체상태가 풀리게 됩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