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사람들은 술을 왜 마실까요? 적당한 주량은?

제가 중고등학교 때까지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술을 마시는 이유에 대해서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음주운전, 폭행 등으로 많은 사건사고의 원인인데 왜 마실까?

게다가 맑은 정신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도 싫었습니다. 비몽사몽간에 행동을 하는 것도 싫고 맨정신으로도 할 수 있는데 구태여 술을 마셔야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대학생활을 하다보니 조금씩 필요성도 있더군요. 모임에서 저만 안 마시고 있으면 공연히 분위기를 어색하게 만든다는 점..

동아리모임 등에서도 친해지는데 시간이 걸리더군요. 확실히 사람의 긴장을 풀게 하고 친분관계를 쌓는데는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도 대학 3학년때부터 조금씩 음주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역시 장점이 있는만큼 단점도 많습니다.

 

 
제 경우는 술을 늦게 배웠고 고집도 쎈 편이라서 사람들과 부딪히는 것 외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지만 동기들은 1학년 새내기때 학과, 동아리모임 등에서 과음해서 사고를 치는 경우가 종종 있었죠. 다음날 시험인데 밤새 과음하고 들어가기도 하고, 기숙사 못 들어오는 경우도 종종 있고...

지금 생각해도 1학년때 학과, 동아리에서 난 안 마신다. 라고 금주 선언을 한 것을 잘 했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마시고 싶을 때 배워야죠.. 우리나라 음주문화에서 안 좋은 점 중에 하나가 분위기를 맞춰야 된다. 강제로 권하는 문화입니다.

다 같이 원샷? 사람마다 주량이 틀린데 뭘 다 같이 원샷합니까? 술좌석에서 한잔 밖에 안 마셔도 같이 즐길 수 있으면 된거지 꼭 다 같이 원샷할 필요는 없죠.. 제가 대학생활을 할 때 이 부분 가지고 선배들과 많이 다퉜습니다. 제가 선배가 되었을 땐 언제나 미리 얘기를 했습니다. 나와 마실 때에는 그냥 마시고 싶은 만큼 편한대로 마셔라!

공연히 마시고 취하면 집에까지 데려다줘야하니 피곤합니다. ㅋㅋ 그리고 많이 마셔봐야 몸만 망가집니다. 전혀 득이 안 되죠.

회사생활을 하니 이런 원칙을 이행하기 어렵더군요. 사장 눈치를 안 볼 수 없다는 것.. 쩝..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여러 면에서 힘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