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제상식] 신용카드의 리볼빙서비스란? 신용관리에 필수품인 신용카드를 사용하다보면 리볼빙서비스라는 걸 접하게 되는데 체크카드엔 없는 기능이다보니 그 내용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오늘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기본적으로 리볼빙(revolving)이란 카드 결제대금 중에 일부분만 결제하면 나머지 금액은 연체되지 않고 다음 달로 이월해주는 제도입니다. 할부와 비슷해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5월 결제일에 입금해야할 결제금이 100만원인데, 리볼빙 10%로 설정해두면 10만원만 넣어도 연체되지 않고 제대로 납부한 것으로 처리됩니다. 그리고 남은 90만원은 다음달 6월로 이월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6월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동안 110만원 더 사용하면 6월 납부해야할 금액은 200만원이 되는데 거기서 10% 해서 20만원만 내면 .. 더보기 [경제상식] 신용불량자란 무엇이고 불이익은 뭔가요? 경제관련 뉴스 등에서 자주 보게 되는 용어 '신용불량자'란 무엇이고 그에 따른 불이익은 뭐가 있을까요? 본인이 그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식으로써 알아두는게 좋은 지식입니다. 우선 현재에는 정확한 표현이 아닙니다. 지금은 채무불이행자가 정식 명칭이며 사람들이 얘기하는 신용불량자(신불자)는 익숙해서 습관적으로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것에 불과합니다. 기본적으로 신불자는 지급해야할 대금을 90일 이상 납부하지 못 했을 때(연체) 채무불이행자로 등재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본다면 채무의 종류에 따라서 완전히 다릅니다. 1. 카드대금, 대출금 1금융권(은행), 2금융권(보험사, 카드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신협, 단위농협, 새마을금고 등)의 카드대금이나 대출금을 주말, 휴일 제외하고 5영업.. 더보기 신용1등급은 어떤 조건이면 도달할 수 있을까요? 2017년 새해 목표로 여러가지를 손꼽을 수 있지만 그중에서 신용1등급을 계획하시는 분들도 계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 장기연체 등으로 신용불량자가 된 경험이 있었다면 신용관리는 정말 필수요소입니다. 앞으로 그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것에서 1등급은 마음잡고 노력할만한 타켓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조건이면 도달할 수 있을까요? 1. 쉽게 생각할 수 있는게 대출빚이 없거나 적어야 하다는 것입니다. 없는게 무조건 좋다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은행권으로 담보나 전세자금, 신용대출은 있어도 달성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2금융권 이하로는 절대 NO, 무조선 갚아야 합니다. 가끔 보면 대부업쪽이나 p2p쪽으로 빌리는 건 상관없을거라 생각하는데 이는 불확실합니다. 나이스지키미쪽으로는 서브프라임등급이라는게 있어.. 더보기 카드금연체 상태에서 신용등급을 관리하는 요령은? 신용관련 상담문의를 보다보면 카드대금이나 대출이자를 연체한 상태에서 어떻게 신용등급을 관리해야하는지 궁금해하는 질문을 보게 됩니다. 이는 아주 기초부터도 잘 모르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 전문가들이 대출, 현금서비스, 카드론이 안 좋다는 얘기를 많이 하지만, 가장 핵심은 연체입니다. 아무리 소액이라고 하더라도 이미 자신이 갚아야할 돈도 못 갚고 있는 상황이라면 그 사람에 대한 경제적 신뢰도는 바닥입니다. 보통 초기에는 8등급이 되고 시간이 지나게 되면 9, 10등급으로 더 낮아지게 되죠. 참고로) 10만원 미만의 아주 소액은 미납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마이크레딧, 올크레딧 등의 신용평가회사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신용관리를 원한다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연체를 해결하는게 핵심입니다. 아무리..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