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2015년 배당투자는 어떤 시점이 좋을까요?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연말이 되면 코스닥지수조금 시들한 분위기가 됩니다.

 

다른 조건을 다 제외한 상태에서 주식의 배당금만을 생각해본다면 다른 시기보다도 12월달이 피크가 됩니다.

 

2015년을 보면 12월 28일 매수해서 29일 매도해도 배당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미국 나스닥종합지수 최근 3년간 변동 : 출처 네이버증시

 

물론 배당을 하지 않는 기업도 많지만 2 ~ 3%대 현금배당을 주는 곳도 있어서 괜찮은 투자입니다.

 

이런 이유로 다른 나라에서는 산타랠리라고 해서 연말, 연초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현상이 뚜렷이 나타날 때가 많다고 하더군요.

 

 

코스닥 종합지수 최근 3년간 변동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신기하게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3년 2014년만 봐도 뚜렷한 하향세가 눈에 띄죠.

 

이는 돈많은 사람들이 주주명부등재나 세금 문제 때문에 매도를 해서 그렇다는데.. 솔직히 개미인 저로써는 법제도가 좀 바껴야되는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이라고 하더라도 주가가 그보다 더 하락하면 되러 손실을 입게 되죠.

 

그러므로 배당투자를 하더라도 낮은 주가에서 매수하는게 정말 중요합니다. 코스닥지수만 본다면 12월말이 좋아보이죠.

 

 

코스피 종합지수 최근 3년간변동

 

그에 비해서 코스피지수는 2014년 2015년 연초에 되러 하락세를 보입니다. 연말보다 연초가 약세라서 배당투자를 하기엔 안 좋은 분위기죠.

 

이렇듯 코스닥, 코스피가 다르고 또한 이는 전체적인 지수라서 개별 종목에 있어서는 천차만별 차이가 있습니다.

 

 

마니커 일봉

 

주식시장이 전체적으로 폭등하는 상황에서도 연중 최저가로 추락하는 기업도 있고, 반대로 폭락세에도 연중 신고가를 돌파하는 회사도 있죠.

 

그러므로 단순히 종합지수만으로 투자시점을 잡는 건은 무리가 있습니다.

 

 

 

결국 어떤 종목을 살 것인가, 그리고 매수매도 시점을 언제로 할 것인가가 핵심요소가 되는거죠.

 

그러므로 배당투자 역시 개별 기업에 대해서 제대로된 정보수집과 분석, 판단하에 장기보유를 계획하고 상황에 따라 매수매도시점을 잡는 것이 안정적으로 수익을 올리는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초보자가 주식투자로 안정적인 고수익률을 올리는 방법은!
http://steponetwo.tistory.com/259